전체150 기말을 준비하며 ㅡㅡ; 데이터베이스 - log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 복원을 위해 고정형 가변형 - 자리수가 일정///자리수가 일정하지 않은것 varchar 가변형 c#에서는 문자 를 "" 이였으나 SQL은 '' 한개짜리는 사용한다. INSERT INTO 테이블이름 (항복이름들) VALUSE (추가할 내용); SELECT 표시할항목 FROM 테이블; 데이터 베이스 연동후 sql은 대소문자 구별을 하지 않는다!!!! 버럭 ㅠㅠ //Initial Catalog 데이터베이스 이름 string dsn = "Data Source= (local);Initial Catalog=Nsu; Integrated Security=True";//윈도우에서 인정하는 방식 integrated security 윈도우 인증(os에서하는 인증) //Data .. 2009. 4. 28. 구조체 포인터... 괄호가 필요한 이유 ↓ 내에 존재하는 변수 name에 접근. (*pMan).name) ↑ pMan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 변수 * 나중에 몬 그림인지 알아 볼려나 ㅡ.ㅡ * 연산자가 .연산자 보다 우선 순위가 낮기 때문이다. 따라서 괄호를 해주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되어 엉뚱하게 해석이 된다. *pMan.name = = *(pMan.name) 자 그리고 -> 연산에대해서 설명한다면 (*pMan).name == pMan->name ->연산자는 구조체 포인터를 이용하며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된다. 어떠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든 100% 의미는 같으나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편의상 ->연산자를 즐겨 사용한다. 이거..공부한게..한달도 안됫는대...그새 까먹어서 헷갈렷다는...흐밍...ㅠㅠ 2009. 4. 7. 파일 접근 모드 모드 의미 r 파일을 읽기 위해서 개방한다. 오로지 읽는 것만 가능하다. w - 데이터를 쓰기위해 개방한다. 오로지 쓰는것만 가능하다. - 만약에 fopen 함수호출시 지정해 준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,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서 데이터를 쓰게 한다 - 지정해 준 파일이 존재하면, 그 파일의 데이터를 지워 버리고 데이터를 쓰게 한다. a - w 모드와 달리, 지정해 준 파일이 존재하면 데이터를 지우지 않고 파일의 끝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한다. - 나머지 특징은 w 모드와 같다. r+ - 파일을 읽고 쓰기 위해 개방한다. -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, 새로운 파일을 생성한다. -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파일의 데이터를 지우지는 않지만 원래 존재하는 파일의 데이터를 덮어 쓰게 된다. w+ - r+ 모드와 달리,.. 2009. 3. 31. 시험 문제 -_-;; http://www.helpstudy.or.kr/nsu parse // Timespan // DateTime // lbl 기간.text = ts 기간.Days.Tostring)(); lbl 이자.text = 이자.Text("##.#####"); ===> ##.#0 ( 0이여도 출력하게 하려고..) return 없는건 void 전역함수-- 맨위 프로젝트에서 asp.net 폴더 추가 -> app_code 에 만들어야함. 클래스..객체 생성.... 아니 생성자 호출. 좋은 프로그램이란????????? 사용자 편의 //굳이 설명서가 없어도 알수잇는..프로그램!ㅋ 함수호출시에 ........ 매개변수 : 갯수///순서///데이터 타입 이 맞아야 한다 문자열인 경우에만 parase 를 사용한다.~~~~ 예를 들면 .. 2009. 3. 24. 이전 1 ··· 22 23 24 25 26 27 28 ··· 38 다음